들빛사람

그리움! 아름다운 우리

한 자

漢字와 漢字語 그리고 漢文

야소자 2009. 6. 9. 19:20

 

漢字 漢字語 그리고 漢文

 

   우리 나라가 사용하는 한글은 사람의 말소리를 소리 그대로 文字로 나타내는 表音文字(표음문자)이지만, 中國나라는 말의 뜻을 文字로 나타내는 表意文字(표의문자)를 사용한다. 表意文字는 어떤 사물의 형상과 그 문자의 모양을 조합하여 文字로 만든 象形文字(상형문자)를 사용한다.

   中國이 사용하는 文字는 表意文字인 象形文字의 漢字가 모여서 漢字語가 되고 이 漢字語가 모여 漢文이 되는 것이다.

 

   漢字는 象形(상형), 指事(지사), 會意(회의), 形聲(형성), 轉注(전주), 假借(가차)의 여섯 가지 종류의 뜻 문자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모양(形)과 소리(音)와 뜻(義)을 모아 後漢시대 許愼(허신)이라는 사람이 【說文解字(설문해자)】란 책에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이것을 六書라고 한다.

 

   또한, 漢字語는 두 개 이상의 漢字가 모여 일정한 뜻을 지닌 단어로 故事成語, 俗談, 格言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漢字語들은 우리 나라의 말 모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여러 가지 모양의 글자와 그 글자의 형태를 지니고 文章을 이루어낸 것을 漢文이라 이르는 것이다.

 

   漢字의 글자, 漢字語의 단어, 그리고 漢文이라는 文章을 구성하기 이전, 漢字는 漢字대로 漢字語는 漢字語대로 音(소리)과 訓(뜻)을 가지고 있다. 허나, 漢文이라는 文章을 구성하게 되면 漢字와 漢字語만으로는 이야기하고 설명하기 힘든 부분들이 漢文 속에서 많이 나온다. 특히, 같은 漢字이지만 많은 뜻에 따라 그 뜻을 다르게 사용하여 文章의 풀이를 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그때 그 文狀의 의미에 맞게 풀이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 例를 든다면,

 

胎孕之敎》에 대한 이야기에서,...【小學 立敎 1章 列女傳】

글에正事하더니라人矣리라가 나온다.

』는 ?길 도?이다. 이란 뜻 외, ?방법, 수단, 과정, 말하다?가 있다.

』는 ?지날 과?이다. 지나치다는 뜻 외, ?허물, 뛰어나다.?가 있다.

그런데 이 文章에서 ?말하다.?로 풀고, ?뛰어나다.?로 풀었다.

 

   이처럼 漢字는 하나의 文章으로 꾸며지면 여러 가지 의미로 풀이가 되어지기 때문에 넓고 다양한 글공부를 하지 않은 사람이면 그 뜻을 풀어 이해하기가 힘든다. 그러므로 漢字공부를 하려는 사람은 漢字 그 자체를 一字一字 익히기에 앞서, 漢文의 文章을 수없이 많이 읽는 것이 힘든 漢字를 익히는 일에 도움이 되고 더 좋은 결과를 가질 것이라 이야기하고 싶다. 물론 나 역시도 이러한 방법으로 講學을 하여 눈곱만큼 漢學의 의미를 얻었기 때문이리라.

   사실 60,000字에 가까운 漢字를 하나 하나 외우고 쓴다는 것은 힘든 일이며, 그 뜻을 다 習得한다는 것은 거의 不可能한 일인 것이다. 그래서 나는 漢字와 漢文을 나무와 숲에 비유한다.

 

   한 그루의 나무를 보는 거와 울창한 숲을 보는 차이는 나무 한 그루에는 단순히 그 나무의 생명뿐이지만 숲 속에는 무수히 많은 종류의 나무와 아름다운 새들, 맑은 시냇물, 그 시냇물 속의 까만 조약돌, 이끼, 알 수 없는 잡초와 동식물들이 얼마나 많은가, 때로는 큰 바위덩이가 그 울창한 숲을 뚫고 하늘을 향하여 하늘의 뜻을 받으려 하기도 하는 인생의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이라는 漢字는 단순히 音(소리)만으로 생각한다면, ?하늘?이라는 뜻(義)과 ??이란 소리(音)뿐이지만, ?하늘?이라는 단순 의미(義)로만 생각한다면, 그 하늘은 ?높고, 푸르고, 넓고, 비어있다.?는 등의 수많은 의미(義)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하듯이 나무 한 그루와 숲의 차이는 그 바라다보는 느낌부터 다르리라. 넓고, 큰마음의 의미를 지니고 이로부터 그 情(마음)을 자연과 우주가 인간의 윤리와 질서에 새겨주는 철학이 놓여 있다는 진실 되고 순수한 天理를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한번 漢字를 공부하는 사람은 먼저 어렵고 힘들더라도 漢文의 文章을 접하여 수없이 읽으며 그 의미를 터득하는 일이 漢字를 익히고 漢文을 공부하는 지름길이라는 사실을 전하면서 글을 다하고자 한다.

 

   

1999년 유월                 野炤子     金 炳 碻

 

????????????????????????????????

 

① 象形 ; 日ㆍ月ㆍ山ㆍ川,... 등과 같이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를 가리킨다.

② 指事 ; 上ㆍ中ㆍ下,... 등과 같이 이미 이루어져 있는 글자나 어떠한 부호를 이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든 것을 가리킨다.

③ 會意 ; 人 + 言 = 信, 日 + 月 = 明,... 등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글자를 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뜻 과 소리의 글자로 만든 것을 가리킨다.

④ 形聲 ; 水 + 工 = 江, 木 + 可 = 柯,... 등과 같이 하나의 글자는 소리를 나타내고 또 다른 글자는 뜻을 나타내어 새로운 글자로 만든 것을 가리킨다.

⑤ 轉注 ; 樂(음악 악 => 즐길 낙 => 좋아할 요),... 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글자의 뜻이 다른 뜻으로 바뀌어 쓰이는 글자를 가리킨다.

⑥ 假借 ; 뜻은 다르지만 소리가 비슷한 글자를 빌어와 사용하는 글자, 주로 외국어에 이용한다.

 

???????????????????????????????????

 

 

'한 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軍(군사 군)  (0) 2009.06.17
國(나라 국)  (0) 2009.06.15
九(아홉 구)  (0) 2009.06.11
敎(가르칠 교)  (0) 2009.06.10
校(학교 교)  (0) 2009.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