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章(廣立敎) => 풍속을 가르침에,... *************** *************** *************** => 14章 { 葉祖洽所撰 陳先生行狀 } 古靈 陳(고령 진)선생이 仙居(선거)의 令이 되어 백성을 가르침에 대해 말하기를, 나의 백성이 된 사람은 아버지는 올바르고 어머니는 인자하며,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하며, 자식은 孝하며 夫婦는 사랑을 베풀며, 男女間은 ..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8.20
13章(廣立敎) => 期待(기대),... *************** *************** *************** => 13章 { 胡氏 傳家訓 } 胡文定公(호문정공)이 자식들에게 글을 주며 말하기를, 明道(명도)와 希文(희문)을 모범으로 뜻을 세우길 나는 期待하며, (胡文定公이 與子書曰 立志를 以明道希文으로 自期待하며) [胡氏 傳家訓] * 明道는 北宋의 학자 程顥(정호), * 希文은 ..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8.17
12章(廣立敎) => 말, 행동, 생각,... *************** *************** *************** => 12章 { 童蒙訓 宋史隱逸傳 } 節孝 徐(절효 서)先生이 글방 사람들에게, 여러분(諸君)이 君子가 되고 싶은 마음에 자신의 힘을 수고롭게 하며, 자신의 재물을 소비해서 君子가 되지 못하는 것은 차라리 괜찮은데,... 자신의 힘으로 수고롭게 하지 않아도 되고, 재물..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8.14
11章(廣立敎) => 吉한 凶한 사람,... *************** *************** *************** => 11章 { 邵子 全書 } 康節 邵(강절 소)선생이 자손에게 경계하기를, 上品의 사람은 가르치지 않아도 착하고, 中品의 사람은 가르친 뒤에 착하고, 下品의 사람은 가르쳐도 역시 착하지 않다, 가르치지 않았는데 착한 것이 어찌 聖人이 아니겠으며, 가르치고 난 뒤에..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8.11
10章(廣立敎) => 質이 조카에게,... *************** *************** *************** => 10章 { 宋史 范質列傳 宋文鑑 } 范魯公 質(범노공 질)이 재상이 되니, 조카(從子) 杲(고)가 녹봉을 올려달라고 아뢰었다, 質이 글을 지어 깨닫게 하였는데, (范魯公質이 爲宰相이러니 從子杲嘗求奏遷秩이어늘 質이 作詩曉之하니라) [宋史 范質列傳, 宋文鑑] * 質은..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8.03
9章(廣立敎) => 柳氏家訓,... *************** *************** *************** => 9章 { 柳氏家訓 } 柳玭(유빈)이 일찍이 子弟들에게 글을 지어 경계하며, 이름을 무너지게 하고, 몸에 재앙이 들게 하며, 조상을 욕되게 하고, 집안을 망치는 그 그릇됨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다섯 가지니 마땅히 깊이 기억해야 한다, 하였다, (柳玭이 嘗著書하여 ..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7.27
8章(廣立敎) => 諸葛亮(제갈량)이,... *************** *************** *************** => 8章 { 武侯全書 } 諸葛武侯(제갈무후)가 경계하여 자식에게 글로써 말하기를, 君子가 행해야 할 일은 고요히 몸을 닦는 것이다, 검소함으로써 德을 기르는 것이니, 澹泊(담백)하지 못하면 뜻을 밝힐 수 없는 것이요, 寧靜(녕정)하지 못하면 致遠(치원)이 없을 것..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7.21
7章(廣立敎) => 漢昭烈이,... *************** *************** *************** => 7章 { 三國志 蜀志 先主傳註 } 漢나라의 昭烈(소열)이 죽음에 이르러 後主에게 삼가 말하기를, <나쁜 것은 아주 작은 것이라도 하지 말아야 하며(勿以惡小而爲之), 착한 것은 아주 작은 것이라도 아니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勿以善小而不爲),> 하였다, (漢昭..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7.16
6章(廣立敎) => 집오리와 개,... *************** *************** *************** => 6章 { 後漢書 馬援列傳 } 馬援(마원) 형의 아들 嚴(엄)과 敦(돈)이 다른 사람을 헐뜯고 비난하는 일을 좋아하고 가벼운 俠客(협객)들과 지냈다, 援이 交趾(교지)에 있으며 글을 보내 경계하여 말하기를, 나는 너희들이 다른 사람의 잘못을 듣고서, 父母의 이름을 ..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7.12
5章(廣立敎) => 분별하는 일,... *************** *************** *************** => 5章 { 了翁集 呂東來辨志錄 } 陳忠肅公曰, 幼學之士(유학지사)는 먼저 인품의 위, 아래를 나누어 구별하는 일을 필요로 하니, 어느 것이 聖賢(上智)의 일이며, 어느 것이 下愚(하우)들의 일인가를 구별하여, 착한 것을 향하고, 악한 것을 멀리 물리쳐, 惡은 떠나 .. 소학(5장 가언)/廣立敎(광입교) 2009.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