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소학(四字小學) 후기(後記) *************** *************** *************** 《 사자소학(四字小學) 후기(後記) 》 : 사자소학은 언제 누가 만든 것인지 필자로서는 아직 고구할 자료가 없으나 이 책이 서교(西敎)의 이념과 내용이 섞인 흔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 천주교 전래 이 전에 만들어진 것 같고, 동몽선습은 근세 명종 연간..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9.02
평성(平聲)과 측성(仄聲) *************** *************** *************** 《 평성(平聲)과 측성(仄聲) 》 한자는 음의 고저(高低)인 음율의 높낮이와 음의 길이로서 네가지로 분류되는데 平聲, 上聲, 去聲, 入聲이다. 이 중에서 상성, 거성, 입성을 합하여 측성(仄聲)이라 하는바 말하자면 한자는 平聲과 仄聲으로 크게 나눌 수 ..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30
사자소학(四字小學) 책머리에,... *************** *************** *************** 《 책머리에 》 현대사회는 과학이 크게 발달하여 물질문명과 경제적 생활이 윤택하여지고 가정도 옛날의 집단적 생활보다는 핵(核)가족화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해방과 더불어서 서양문물이 물밀 듯이 들어와서 사람들의 의식도 개인주의화되어 가는..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26
늙은이의 헛된 말이 아니고, 성인(聖人)의 가르침이시다. *************** *************** *************** 非我言耄 惟聖之謨(비아언모 유성지모) : 어려운 耄(모)보다는 老(노), 謨(모)보다는 敎(교) 등 쉬운 말로 고쳐서, 이 글은 성현의 가르침임을 알게 할 것이다. 이상 四字小學(사자소학)만 읽어도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를 터득할 것임이 틀림없다...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23
예(禮)가 아닌 것은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행하지도 마라(四勿). *************** *************** *************** 《 사물(四勿) 》 : 논어 안연 1장에 나오는 孔子님(공자)의 말씀이다. 인(仁)을 행하는 것은 극기복례(克己復禮)로 하는 것인데 그 극기복례하는 세목(細目)으로서 예(禮)에 어긋나는 것은 보지도(非禮勿視), 듣지도(非禮勿聽), 말하지도(非禮勿言), 행하..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19
군자(君子)의 평생 생각하는 것(九思) *************** *************** *************** 《 구사(九思) 》 : 구사(九思)는 논어 계씨 16장에서 군자(君子)의 평생 생각하는 바가 아홉 가지 있음을 말하는 것이니 보는 것, 듣는 것, 얼굴 빛, 용모, 언어, 일하는 것, 의문스러움, 성남, 이득됨을 말하여 행동거지를 밝게 정성스럽게, 의롭게, 올바..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16
사람이 가져야 할 단정한 모습(九容) *************** *************** *************** 《 구용(九容) 》 : 사람이 가져야 할 단정한 모습을 말하는 것이니 발, 손, 눈, 입, 소리, 머리, 숨 쉼, 얼굴색, 서 있는 자세 등을 말한다. 소학(小學) 경신(敬身)편에 나온다. *************** *************** *************** * 足容必重(족용필중) : 발모양은 반드시 ..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12
삼강(三綱) *************** *************** *************** 《 삼강(三綱) 》 : 삼강(三綱)은 공자, 맹자 사상인 유학 경전(經典)에 있는 것이 아니고 후대에 한(漢)나라 동중서(董仲舒)가 만들어 낸 정치적 통치 수단의 강령이라 할 수 있다. *************** *************** ***************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09
오륜(五倫)과 실용주의 *************** *************** *************** 《 오륜(五倫) 》 : 오륜(五倫)은 동양의 근본사상으로 천도(天道)를 이루는 원리이다. 이는 유학의 실천 도덕이며 사람으로서의 지켜야 할 윤리(倫理)를 말한다. 오륜(五倫)은 오상(五常), 오전(五典)이라고도 한다. 맹자(孟子)께서 그 내용을 확정하였..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05
원형이정(元亨利貞)의 뜻은 *************** *************** *************** 《 원형이정(元亨利貞) 》 :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주역의 원리로서 소학 제사(題辭)의 첫머리에 나오는 말인데, 사물의 근본 이치(理致)를 말하는 것으로 천도(天道)의 네 가지 원리를 말한다. 그 내용은 한 평생을 연구하여도 그 참뜻을 깨닫지 못하는.. 晩谷 선생/晩谷先生 曰 201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