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章 => 衣服之制(옷차림 = )<7> *************** *************** *************** => 40章 {論語 里仁} 孔子님께서, 선비가 道에 뜻을 두고서, 나쁜 옷과 음식이 나쁨을 부끄러워하는 사람과는 함께 道를 논할 수 없다, 하셨다, * 朱子曰, 마음으로 道를 구하려하면서 입과 몸을 받드는 일이 다른 사람만 못함을 부끄러워하면 그 아는 취향이 낮고 .. 소학(3장 경신)/衣服之制(옷차림) 2009.06.08
39章 => 衣服之制(옷차림 = )<6> *************** *************** *************** => 39章 {禮記 玉藻} 禮記曰, 어린아이는 갖옷을 아니하고, 비단옷을 아니하며, 신에 신코 장식 끈을 아니한다, 하였다, * 갖옷과 비단옷을 아니함(不?不帛)은 많이 따뜻하게 되는 것이다, 신코(?)는 신발 앞의 끈이니, 이를 사용하여 행함에 경계하는 것이다, 신코에 .. 소학(3장 경신)/衣服之制(옷차림) 2009.06.08
38章 => 衣服之制(옷차림 = )<5> *************** *************** *************** => 38章 {論語 鄕黨} 孔子님께서는, 염소 갖옷(羔구)과 검은 冠(玄冠)으로 조문하지 아니 하셨다, * 陳氏曰, * 염소갖옷(羔구)은 검은 양의 가죽을 사용하여 된 것이요, 玄은 검은 색이다,(陳氏曰 羔? 用黑羊皮爲之 玄 黑色) * 朱子曰, * 초상에는 흰색을 주로 하고, 길.. 소학(3장 경신)/衣服之制(옷차림) 2009.06.08
37章 => 衣服之制(옷차림 = )<4> *************** *************** *************** => 37章 {論語 鄕黨} 喪을 다 보내시고는 차지 아니한 것이 없으셨다, * 朱子曰, * 君子가 이유없이 玉을 몸에서 떼지 않았으니, 뿔 송곳과 숫돌(휴礪), 또한 모두 찬다,(朱子曰 君子無故 玉不去身 ?礪之屬 亦皆佩也) *************** *************** *************** 소학(3장 경신)/衣服之制(옷차림) 2009.06.08
36章 => 衣服之制(옷차림 = )<3> *************** *************** *************** => 36章 {論語 鄕黨} 論語曰, 君子께서는 감색과 보라색으로써 옷깃을 선두르지 아니 하시며, * 朱子曰, * 君子는 孔子님을 이르는 것이요, 재계할 때 입는 옷은 짙은 청색에 붉은 색이 날리는 것(紺)이니, ?(추)는 붉은 색으로, 3년의 상에, 돌아 가신지 한 돌만에 지.. 소학(3장 경신)/衣服之制(옷차림) 2009.06.08
35章 => 衣服之制(옷차림 = )<2> *************** *************** *************** => 35章 {禮記 曲禮} 曲禮曰, 사람의 자식 된 자로써 부모님이 살아 계시면 갓과 옷의 바탕을 순색으로 아니하며, 孤子가 집을 맡아서는 갓과 옷을 순색으로 채색하지 아니한다, 하였다, * 孔氏曰, * 冠純은 갓을 꾸미는 것이요, 衣純은 옷깃을 꾸미는 것이다,(孔氏曰.. 소학(3장 경신)/衣服之制(옷차림) 2009.06.08
34章 => 衣服之制(옷차림 = 성인 三加禮)<1> *************** *************** *************** => 34章 {儀禮 士冠禮} 士冠禮曰, 처음 緇布冠(치포건)을 씌우면서 축하의 말로, 좋은 달 좋은 날에 처음으로 머리에 쓰는 元服의 冠을 입힌다, 너의 어린 마음을 버리고, 德을 이루길 순히 따르면 나이가 많도록 오래 살고(壽考) 길하여 크게 큰복(景福)을 받으리라,.. 소학(3장 경신)/衣服之制(옷차림) 2009.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