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校君政之敎(학교군정지교) 8章 = 四術, 四敎,... *************** *************** *************** => 8章 {禮記 王制} 王制曰, 樂正이 네 가지의 법칙(術)을 숭상하고 네 가지의 가르침을 세워 先王의 詩, 書, 禮, 樂을 따르게 하여 선비가 되게 하되, 봄과 가을에 禮, 樂으로 가르치고, 겨울과 여름에는 詩, 書를 가르쳤다, 하였다, * 吳氏曰, * 王制는 禮記의 책이름.. 소학(1장 입교)/學敎君政之敎(학교배움) 2009.05.08
學校君政之敎(학교군정지교) 7章<2> => 여덟 형벌,... *************** *************** *************** => 7章 {周禮 地官} 마을에 여덟 가지 형벌로 만 백성을 살피니(糾), 첫째가, 孝하지 아니하는 벌이요, 둘째가, 친족끼리 화목하지 아니하는 벌이요, 셋째가, 어머니 쪽 친척과 화목하지 아니하는 벌이요, 넷째가, 공경하지 아니하는 벌이요, 다섯째가, 친구간에 믿.. 소학(1장 입교)/學敎君政之敎(학교배움) 2009.05.08
學校君政之敎(학교군정지교) 7章<1> => 육예(六藝),... *************** *************** *************** 세 번째, 여섯 가지 藝이니, 禮와 樂, 射, 御, 書와 數이다, @ 藝는 일에 나타나는 것이다, 禮는 다섯 가지가 있다,(藝者 見之於事者也 禮凡有五) 첫 번째, 좋은 일을 대하는 吉禮니, 나라의 사람(人)과 하늘(天), 땅(地)의 鬼를 섬김이니, 그 조목이 열두 가지이다,(一曰.. 소학(1장 입교)/學敎君政之敎(학교배움) 2009.05.08
學校君政之敎(학교군정지교) 7章 => 六德, 六行,... *************** *************** *************** => 7章 {周禮 地官} 周禮에, 大司徒가 고을에서 三物로써 모든 백성들을 가르쳐 賓興으로 대접하였다, * 周禮는 周公 旦께서 지은 것이니, 周家 一代의 禮를 보인 것이다, 天, 地, 春, 夏, 秋, 冬의 六象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는 조직과 권한을 정한 官制를 세우고 직.. 소학(1장 입교)/學敎君政之敎(학교배움) 2009.05.08
學敎君政之敎(학교군정지교) 6章 => 神과 사람의 화합,... *************** *************** *************** => 6章 {書經 舜典} 舜임금께서 契에게 명하시길, 백성이 서로 친하지 않으며 五品(五倫)으로 남을 높이고 자신을 낮추지 아니하므로, 너를 司徒로 삼으니, 敬으로 五敎의 가르침을 펼치되 너그러움이 있게 하라, * 吳氏曰, * 舜은 虞나라 임금이름이다, 契는 곧 위.. 소학(1장 입교)/學敎君政之敎(학교배움) 2009.02.28
學敎君政之敎(학교군정지교) 5章 => 사람에 근본,... *************** *************** *************** => 5章 {孟子 등文公上} 孟子님께서, 사람에게는 근본이라는 것이 있음에, 배불리 먹고 따신 옷을 입으며, 편안히 살면서 가르침이 없으면 곧 날짐승(禽)과 길짐승(獸)의 모든 짐승에 가까울 것이니, 聖人께서 근심하심이 있어 契로 하여금 司徒를 맡게 하사 사람의.. 소학(1장 입교)/學敎君政之敎(학교배움) 2009.02.28
學敎君政之敎(학교군정지교) 4章 => 옛날 가르침엔,... *************** *************** *************** => 4章 {禮記 學記} 學記曰, 옛날에 가르침은 家에 塾이 있었으며, 黨엔 庠이 있었으며, 術엔 序가 있었으며, 나라엔 學이 있었다, 하였다, * 學記는 禮記의 책이름이다,(學記 禮記篇名) * 陳씨曰, * 옛날에 25家를 閭(려)라 하여, 한 마을에 같이 있었고, 골목입구에 문.. 소학(1장 입교)/學敎君政之敎(학교배움) 2009.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