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少儀曰, |
* 少儀는 禮記의 책이름이다,
* 등급이 높다함(踰等)은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순서(行)다,
* 나이를 묻지 아니함은 나이의 차례대로 순서를 정하는(序齒) 것을 꺼리는 것이다,
* 不將命(불장명)은 손님을 맞이하는 사람(?者)으로 하여금 명을 전하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니, 손님과 주인의 禮가 아니기 때문이니, 만약 길에서 우연히 어른을 보았을 땐 곧 달려가 뵈어야 하고, 보지 아니 하였으면 곧 숨어 피해야 하니, 번거롭지 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어른을 모시고 앉았을 때 시키지 아니하거든, |
* 陳氏曰,
* 어른과 모시고 앉았을 때 거문고와 비파를 잡으라고 시키지 아니 하시거든, 마음대로 두드리지 아니 하는 것이다, 쓸데없이 손으로 땅을 긋는 것 또한 敬이 아니다, 손동작을 공손하게 하는 것이니, 손을 들어 장난을 하게 되면 또한 공손함이 아닌 것이다, 계절이 비록 한여름이더라도 부채를 휘두르지 아니함이요, 만약, 어른이 잠자리에 누워 있었을 때 명을 전하게 되면 반드시 꿇어앉아 말을 전하고, 곧게 서서 임하는 것은 옳지가 못한 것이다,
어른을 모시고 활을 쏠 때는 아랫사람은 활을 한꺼번에 다 쏘고, |
* 投壺(투호)는 화살을 병 속에 던져 넣어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 陳氏曰,
* 대개 활을 쏠 때는 반드시 두 사람이 짝이 되니, 화살 통을 마당 가운데 두고 화살은 화살 통에 넣는다, 첫 번째 짝(上?)이 먼저 첫 화살을 쏘고, 다음에 두 번째 짝(下?)도 나아가 첫 화살을 쏜다, 이와 같이 순서를 바꾸며 각기 네 개의 화살을 쏘니, 아랫사람은 사람이 어른을 모시고 화살을 쏠 때는, 감히 번갈아 가면서 다시 쏘지 하지 아니하고 단지 한 번에 네 개의 화살을 합하여 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살을 한꺼번에 쏘는 것이라 이른 것이다,
화살을 던져 병 속에 넣어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投壺)의 禮는 또한 손님과 주인이 각기 네 개의 화살을 던지니, 어른은 네 개의 화살을 땅에다 놓고 한 개 한 개 잡아서 던지고, 아랫사람은 감히 땅에다 놓지 못한다, 그러므로 모두 가슴에다 품고 있는 것이다,
활쏘기와 投壺의 禮는 이긴 자의 제자가 술잔에 술을 따라 잔대 위에 놓으면 이기지 못한 자가 꿇어앉아 술을 마시는 것이다, 만약, 아랫사람이 이겼으면 감히 곧바로 술을 따르지 못하고 마땅히 앞에서 술잔을 씻어 술잔 행하기를 청해야 한다,
*************** *************** ***************
'소학(2장 명륜) > 長幼之序(어른아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章 => 侍坐之禮(지팡이 禮)<12>,... (0) | 2009.05.31 |
---|---|
87章 => 侍坐之禮(나이에 대한 禮)<11>,... (0) | 2009.05.31 |
85章 => 侍坐之禮(두루살핌의 禮)<9>,... (0) | 2009.05.31 |
84章 => 侍坐之禮(사양의 禮- 2)<8>,... (0) | 2009.05.31 |
83章 => 侍坐之禮(사양의 禮- 1)<7>,... (0) | 2009.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