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39章 { 論語 先進 }
南容(남용)이 白圭(백규)를 세 번 반복하였는데, 孔子님께서 형님의 자식을 시집 보내셨다, (南容이 三復白圭한대 孔子以其兄之子로 妻之하시니라) [論語 先進] |
* 朱子曰,
* 南容은 孔子님의 弟子라, 南宮에 살았으니 이름은 縚(도)요, 다른 이름은 适 (괄)이며, 字는 子容(자용)이며, 諡는 敬叔(경숙)이다,
* 詩經曰(大雅, 抑篇),
<희고 맑은 옥의 티는 갈면 되지만, 말의 티는 어찌 할 수가 없다,> 했는데, 이 말을 南容이 하루에 세 번을 반복했다는 말이다, 이 말은 “家語”에 나타나는데, <깊은 뜻을 있게 하고 말을 삼가 하라,>는 이것은 나라에 道가 있어 폐하지 아니한 것이, 나라에 道가 없어져도 재화를 면할 수 있는 까닭이다, 그래서 孔子님께서 형님의 자식을 시집 보내신 것이다,
(集說 ; 朱子曰 南容은 孔子弟子라 居南宮하니 名縚요 又名适이요 字子容이요 諡敬叔이라 詩大雅抑之篇曰 白圭之玷은 尙可磨也어니와 斯言之玷은 不可爲也라하니 南容이 一日三復此言이라 事見家語하니 蓋深有意於謹言也라 此는 邦有道에 所以不廢요 訪無道에 所以免禍라 故로 孔子以兄子妻之하시니라)
*************** *************** ***************
'소학(4장 계고) > 敬身(경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章(옷차림) => 부끄러움,... (0) | 2009.10.09 |
---|---|
40章(몸가짐) => 일을 미루어 행하지 않음 ,... (0) | 2009.10.05 |
38章(몸가짐) => 재난이 있을 때에 ,... (0) | 2009.09.25 |
37章(마음가짐) => 사람 얻기를,... (0) | 2009.09.22 |
36章(마음가짐) => 나쁜 색과 소리,... (0) | 2009.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