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물라독서(勿懶讀書) 》
어려운 懶(게으를;라)보다는 태(게으를;怠)자 등으로 고침이 좋겠다. : 사람의 본성은 선(善)한 것이지만 선각자(先覺者)의 하는 바를 본받아야 그 선(善)을 더욱 밝게 하여 본초(本初)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이다. 논어도 첫편이 학이(學而) 편이요 논어 첫장에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면 불역열호(不亦說乎)아.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마음에 기쁘지 않겠는가로 시작된다. 이 불역열호(不亦說乎)는 다음의 불역낙호(不亦樂乎), 불역군자호(不亦君子乎)와 함께 공자 삼역설(三亦說)이라 한다. 배우는 자는 이 삼역설의 내용과 그 품고 있는 깊은 뜻을 음미하여야 한다. |
*************** *************** ***************
'晩谷 선생 > 晩谷先生 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를 사귐에 있어(友其正人 我亦自正),... (0) | 2013.07.22 |
---|---|
내 아버지와 남의 아버지를 부를 때,.... (0) | 2013.07.19 |
선생은 가르치고 제자는 본받는다(先生施敎 弟子是則),... (0) | 2013.07.08 |
오랑캐의 무리(夷狄之徒) (0) | 2013.07.05 |
나눔에 많은 걸 가지려 하지마라(分無求多) (0) | 201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