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章(廣독서) => 공부한 차례와 순서,... *************** *************** *************** => 81章 { 二程全書 遺書 } 伊川(이천)선생이 말하기를, 大學(대학)은 孔子님께서 남긴 글이고 처음으로 德에 대하여 배우는 것이니, 오늘에 와서 옛사람들이 공부한 차례와 순서(次第)를 볼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이 책이 있음에 힘입은 것이요, 其他(기타)는 論語, ..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10.02.04
80章(廣몸가짐) => 글 읽고 학문하는 이유,... *************** *************** *************** => 80章 { 顔氏 家訓 } 顔氏(안씨)집안의 家訓(가훈)에서 말하기를, 무릇 글을 읽고 학문을 하는 이유는 본디 마음을 열고 눈을 밝혀 행하는 일에 이롭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顔氏家訓曰 夫所以讀書學問은 本欲開心明目하여 利於行耳니라) [顔氏 家訓] * 熊氏曰, * ..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10.01.18
79章(廣옷차림) => 글재주로 벼슬에 나아,... *************** *************** *************** => 79章 { 胡氏知信 } 胡子(호자)가 말하기를, 오늘날 선비(儒者)는 글재주(文藝)를 배워 벼슬에 나아갈 생각만 요리 조리하는데 이 마음을 바꾸어, 그 조심 없는 마음을 거두어들이고 그 몸을 좋게 한다면 곧 어찌 옛날 사람들에 미치는 일이 아니 되겠는가! 부모형..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30
78章(廣옷차림) => 座右戒(좌우계)에서,... *************** *************** *************** => 78章 { 東來辨志錄 } 范益謙(범익겸)의 座右戒(좌우계)에서 말하기를, 첫 번째는 朝廷(조정)에서의 이로움과 해됨(利害), 변방에 관한 일(邊報), 벼슬 인사(差除)에 대해 말하지 아니하는 것이요, 두 번째는 고을 관원의 장단점을 말하지 아니하는 것이요, 세 번째..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29
77章(廣몸가짐) => 세월 유행에,... *************** *************** *************** => 77章 { 胡氏傳家錄 } 胡 文定公(호 문정공)이 말하기를, 사람이 모름지기 세월 유행(世味)에 어떤 경우에도(一切) 흔들림 없이 깨끗해(淡薄)야만 장차 좋은 것이니, 富, 貴, 相(부, 귀, 상; 부함과 귀함, 높은 벼슬)이 있음은 중요하지 아니한 것이다, ..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28
76章(廣몸가짐) => 열 네 가지를,... *************** *************** *************** => 76章 { 宋名臣 言行錄 } 張思叔(장사숙)의 座右銘(좌우명)에서 말하기를, 무릇 말을 함에는 반드시 정성과 믿음이 있어야 하며, 무릇 행함에는 반드시 도탑고 공손함이 있어야 하며, 먹고 마심에도 반드시 삼가 절제하며, 글을 적음에도 똑 발라(楷正)야 하며, (張..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18
75章(廣몸가짐) => 좋은 사람이 없다(無好人),... *************** *************** *************** => 75章 { 呂滎公雜志 童蒙訓 } <은혜와 원수를 분명히 밝힌다(恩讎分明),>는 이 네 글자는 道를 지닌 사람의 말이 아니오, <좋은 사람이 없다(無好人),>는 이 세 글자는 德을 지닌 사람의 말이 아니니, 뒷날에 태어나는 사람들은 경계하라, (恩讎分明此四字..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17
74章(廣몸가짐) => 선배 후배,... *************** *************** *************** => 74章 { 呂滎公雜志 童蒙訓 } 대체로(大要), 선배(前輩)들이 만들어 놓은 일은 두루 두루 상세함이 많고, 후배(後輩)들이 만든 일은 빠지고 생략된 것이 많다, (大要前輩作事는 多周詳하고 後輩作事는 多闕略하니라) [呂滎公雜志 童蒙訓] * 大要(대요)는 大抵(대저)..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10
73章(廣몸가짐) => 내 나쁜 것을,... *************** *************** *************** => 73章 { 呂滎公雜志 童蒙訓 } 내 자신의 나쁜 것을 다스리는 일에 힘쓰고, 다른 사람의 나쁜 것을 다스리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자신의 나쁜 것을 다스릴 때는 낮과 밤으로 또한 點檢(점검)하여 아무리 적은 나쁨(絲毫)이라도 다하지 못했다면 곧 마음에 찐 덥..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04
72章(廣마음가짐) => 氣象(기상)을 마땅히,.... *************** *************** *************** => 72章{ 呂滎公雜志, 童蒙訓} 呂滎公(여형공)이 일찍이 말하기를, 뒷날 처음 학문을 배우는 사람은 氣象(기상)을 마땅히 이해해야 한다, 氣象은 타고난 성품이 겉으로 드러난 것이니, 氣象이 좋을 땐 백 가지의 일이 당연히 좋은 것이다, 氣象은 말씨(辭令)와 몸가.. 소학(5장 가언)/廣敬身(광경신) 2009.12.03